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1.06.04 Blender Day 4 - 전구 만들기
    BQLV/Blender 연습 2021. 6. 4. 07:25

    이 글은 Crossmind Studio의 Blender Day 4를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qsXlL1WXEQA&t

     

    노드를 계속 공부하고 있고, 아 그림도 그려야하는데 갑자기 그리기 싫어졌네요. 하하;

    좀 있다가 아침 먹고 코딩 + 각본이나 짜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 저녁에는... 사람 그리기 싫으니 도형 그리겠습니다.

     


    1-1, Principle BSDF

    저번 시간에는 그냥' 노드'라고 했지만, 정확히는 Principle BSDF라는 노드입니다.

    그냥 이런저런 기능들이 종합적으로 들어간 노드로 생각하면 됩니다.

    (개별 노드랑은 연산이 조금 다르다곤 하는데, 거기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노드 추가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Shift + A로 합니다.

    Principle BSDF는 Shader 목록에 있습니다.

     

     

     

    1-2, 기본 설정

    이걸 왜 영상 시작에서 안 알려줬는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쉐이더 작업을 편하기 하기 위한 설정이 있다고 합니다.

    금방 할 수 있으니 하고 가도록 하죠.

    cakewalk하다가 와서 P로 설정창 열고 앉아있었다...
    영상에서는 여러개 뜨던데, 나는 하나만 바로 뜬다
    설정을 했다면 반드시 저장해주자

     

     

    2, 여러 노드로 작업하기

    아까 말했듯이 Shift + A로 노드를 새로 만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hift + D는 노드 복제가 가능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다양한 노드들을 바꿔가면서 비교할 수도 있죠.

    반사와 관련된 노드
    Material Output,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잘 보면, 우리가 복제한 output은 붉은 색 표시 없이 그냥 꺼져있다
    새로 복제한 material output도 마찬가지
    원하는 material output을 클릭하면, 그 노드의 출력물이 반영된다

     

    2-1, 노드 백업하기

    뭔가 백업이라는 거창한 단어를 썼지만, 그냥 값을 저장하는 겁니다.

    우리가 쓰던 principle BSDF는 다양한 값을 조절하고 있으며

    때문에 마음에 드는 값을 잠시 저장해두고, 다른 값들 중 더 좋은게 있나 찾아볼 수도 있죠.

     

    아까 말했듯이, Shift + D로 노드를 복제할 수 있다
    그냥 저 존제 자체가 백업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3, Anisotropic (대충 빛 관련된 무언가)

    저도 이게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위키백과 정의를 참고하자면 같은 면이라도 빛이 어느 방향에서 오느냐에 따라 그 반사되는 정도가 다른 성질을 의미한다는데 정말 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적용을 하면 뭔가 달라보이기는 해요.

     

    그냥 이리저리 바꿔가면서 보자니 차이를 모르겠다;
    설정 자체는 크게 중요치 않다. metallic와 specular를 적당히 넣어주자
    render 창에서 확인해야 빛이 관여되서 그 차이가 드러난다
    같은 형태의 구지만, 반사되는 상태가 조금 다르다 (좌측이 anisotropic 적용된 구체)
    물론 principle BSDF 대신 별도의 노드를 써도 된다

     

    4-1, 전구: 투명한 유리 만들기

    지금까지 배운 것을 이용해서 전구에 쉐이더를 적용해보는 예제이다.

    그래봤자 유리 - 메탈 - 필라멘트. 이렇게 3개로 나뉘는 게 전부지만.

     

    급하게 만든 덕분에, 예제 중간중간 모양이 조금씩 바뀐다
    당연히 물체마다 쉐이더가 적용되니, P(seperate) 명령으로 단위마다 분리를 시켜주자
    IOR을 바꿔가면서 원하는 투명도를 찾아보자
    솔직히 Shade Smooth는 너무 사기인 것 같다

     

    그리고 사실 Glass 관련된 별도의 노드도 존재하는데,

    그것도 같이 Shift + A로 추가해서 비교하면 괜찮습니다.

    Shift + A > Shader > Glass BSDF
    다만 매번 손으로 잡아끌어서 추가한다? 색시하지 않은 방식이다
    그냥 클릭 한번으로 지금 활성화된 Material Output에 연결해준다

     

    4-2, 복습: Make Links

    솔직히 이건 그냥 내가 햇갈려서 적어두었다,

    Shift + L을 하면 Link와 '관련된' 명령을 수행하는데, 이는 Material을 연결해주는 'Make Links'와는 전혀 다른 명령어다.

     

    Ctrl + L이다, Ctrl + L !!

     

     

    4-3, 복습: Metallic 적용

    이건 그냥 넣어두었다. 사실 쉐이더 작업하면서 계속 외형을 바꿨던 것 같기도 하고...

     

     

    4-4, 전구: Emission 노드

    솔직히 Day 5까지 들은 입장에서, emission 노드를 추가한다고 여러분이 원하는 전구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빛을 내는 것 부터가 시작이니까요.

     

    그냥 혼자 발광하는 느낌
    어디 벽에 대보면 표시는 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