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3.11 Blender Day 1-2BQLV/Blender 연습 2021. 3. 12. 18:07
이 글은 아래 영상을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영어를 할 줄 안다면 정말 좋은 블랜더 튜토리얼입니다.
www.youtube.com/watch?v=At9qW8ivJ4Q&t
1-1, 물체 움직이기
베이직 오브 베이직.
블랜더를 처음 시작하면 물체의 '이동' '회전' '크기 조정' 이렇게 3가지를 하게 됩니다.
가장 직관적이기도 하고, 가지고 놀기도 좋고, 단축키를 쓰기도 하니까..
일단 물체를 클릭하면 해당 물체의 테두리가 강조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우측 상단 outliner를 보면 큐브가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G를 누르면 그 물체를 잡을 수 있습니다.
(예, 움직인다의 'M'ove가 아니라 잡는다의 'G'rab입니다)
G: 물체 이동 (다시 클릭하면 위치 확정)
참고로 G를 누르면 물체가 마우스 커서를 따라 움직이는데,
위치를 확정지으면 다시 클릭을 해서 그 위치에 놓아야 합니다.
3D 상에서 움직이게 되면 '적당히 직관적인 위치'에서 이동하는데
자세한 방법은 아래에 언급합니다.
이렇게 물체를 이동시킨 후 (테두리가 흰색이다) 다시 클릭을 해서 확정시켜주자 (테두리가 다시 오랜지 빛을 띈다) 1-2, 크기 조정
간단합니다.
Scale의 S입니다.
S: 크기 조정 (다시 클릭해서 크기 확정)
물체를 선택하고 이렇게 하면 X, Y, Z 상에 대해서 크기 조정이 가능하다 1-3, 물체 회전
Rotate의 R입니다.
R: 물체 회전 (다시 클릭하면 회전 값 확정)
이렇게 돌리다가, 마음에 드는 각도가 나오면 클릭한다 2, Transform 값 초기화
일단 Transform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물체의 위치, 크기, 회전 등 물리적인 값을 의미합니다.
즉, 물체를 G로 이동, S로 조정, R로 회전시키면 이 Transform의 값도 변하게 됩니다.
그런데 가끔은 이 변경된 값을 영점 조절하듯 0으로 맞추고 싶을 수 있습니다.
일단 N을 누르면 우측 상단에 뭔가 툭, 하고 튀어나옵니다.
여기가 Transform 값들이 적인 창입니다.
N을 눌러서 나오는 창. Location, Rotation, Scale 값이 변해있다 여기서 물체를 선택하고 Ctrl + A를 누르면 매뉴가 뜹니다.
apply 즉 적용하는 옵션을 선택하는데 간단하게 All Transform을 선택하게 되면
우리가 바꿔준 Location, Rotation, Scale의 값이 디폴트 기준으로 바뀝니다.
cf. 다만 저는 location 값은 잘 안건드는데... 굳이 바꿔야 할 필요성을 못 느껴서
(주의, 이 작자는 쌩초보입니다)
N: Transform 값 확인
Ctrl + A: Apply 옵션 창
Ctrl + A를 누르면 물체에 대해 Apply할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All Transform을 Apply하면, Location, Rotation, Scale이 기준으로 된다 3-1, 차원 고정 (1)
지금까지 우리는 3D 공간에서 물체를 변경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물체를 위로만 이동시키고 싶거나,
Z축에 대해서만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Z는 그대로 두고 평면상에서 넓히기를 원할 수도 있습니다.
아까 저희가 한 G, R, S의 경우
단축키를 눌러 물체를 수정하고, 다시 클릭해서 확정을 짓는 방식이었죠?
단축키를 누른 후, 키보드 X, Y, Z를 각각 누르면 해당 값만 바꿀 수 있습니다.
일단 이렇게 G, S, R을 눌러 수정사항을 정한 후 X를 누르면 물체를 기준으로 X축이 드러난다 가령 G + X를 하면, X값만 변경시켜서 Grab를 실행할 수 있다 이 XYZ 옵션에 대해 설명을 더 해주자면
X를 눌러서 움직이려다가 '아 Y로 해야하는데'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냥 Y를 누르면 X대신에 Y옵션으로 갑니다
또한 물체를 수정할 때 X Y Z를 누르는 타이밍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수정 이전에 성분값을 기준으로 X, Y, Z에 픽스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G S R을 눌러야 한다거나, 키보드 두개를 빠르게 연타한다거나 안해도 됩니다.
여유를 가지세요.
X를 눌렀다가 '어 Y값으로 해야 하는데' 하면, 그냥 Y누르면 스위칭된다 그냥 심심해서 Z도 넣어놨다 이 물체에 대해서 만약 Z 옵션으로만 G S R하면? 이렇게 Z 성분만 깔끔하게 변한 걸 볼 수 있다 3-2, 차원 고정 (2)
저번에 알아본 시점 이동으로도 가능합니다.
[ ` ~ ]: 시점 이동 파이 값 (Num Pad로도 된다고 했지?)
가령 앞(Front)으로 시점을 움직이면 X-Z 평면상으로만 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파이창을 켜서 시점을 바꾸면 이제 Y값을 바뀔 걱정 없이 자연스럽게 X-Z 성분만 수정할 수 있다 3-3, 차원 고정 (3)
아까는 X, Y, Z에 '대해서만' 변경했는데
물체를 X, Y, Z를 '제외하고' 옮길 수도 있습니다.
(가령 큐브를 X-Y 평면에 대해서 넓힌다거나...)
이 경우는 원하는 G R S 명령을 입력한 후
Shift + 차원을 입력하면 됩니다.
[명령] + Shift + [X / Y / Z]: [YZ / ZX / XY]에 대해서 [명령] 수행
가령 Z는 이렇게 'Z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면 Shift + Z는 X와 Y의 선이 동시에 나타난다 S + Shift + Z를 한 경우 G + Shift + X를 한 경우 4, 그 외 잡다한 소리
- G R S를 하다가 취소하고 싶으면 그냥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됩니다
- 되돌리고 싶으면 만국 공통어 Ctrl + Z를 하면 됩니다
- 물체의 값 조정은 '보통은' Pivot이라는 점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자세한 건 다음에.
어제 약속이 있어서 급하게 쓰느라 업로드를 안했네요.
방금 블랜더 공부하고 업로드 하려다가 알았습니다...
너무 열심히 놀았더니 공부 머리가 안돌아가서 다른 걸 좀 했는데, 언젠가 정리해서 업로드하겠습니다.
'BQLV > Blender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2 Blender Day 2-1 (0) 2021.03.22 21.03.22 - Blender Day 2-0 (0) 2021.03.22 21.03.18 Blender Day 1-4 (0) 2021.03.18 21.03.12 Blender Day 1-3 (0) 2021.03.15 21.03.10 Blender Day 1 - 1 (0) 2021.03.10